kosha-ms3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 인증업무 처리규칙(20211214) 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유해·위험요인에 노출된 근로자와 그 밖의 이해관계자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사업장의 안전보건수준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사업장이 자율적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실행·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 성과를 이루기 위하여 인증기준을 크게 기준A형, 기준B형, 기준C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2.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인증기준 기준A형은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하고, 기준B형은 상시근로자 20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합니다. 그리고 기준C형은 소규모 사업장인 상시근로자 2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 가능합니다. 또 이 기준은 공단으로부터 .. 2023. 2. 12.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도입 필요성 및 효과 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시 이점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이점은 무엇일까요? 크게 안전보건 측면과 경제적, 사회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안전보건 측면에 대해 살펴볼까요? 국제적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정부 주도의 안전보건관리 체제에서 사업장의 자율관리 체제로 전환하여 노·사 관계의 안정화를 도모하는데 있습니다. 즉, 안전보건 측면에서는 사고로부터 근로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근로자 주변에서 발생 가능한 유해·위험요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개선하여 리스크를 감소시키는데 있습니다. 다음으로 경제적 측면입니다. 산업재해를 감소시켜 기업의 직·접적 또는 간접 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망, 중상해 등 사고로부터 불안감을 해소시키며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업의 안정감을 제공하는데.. 2023. 2. 12.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배경, 의의, 활동 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발생 배경 우리나라의 산업 발전 속도는 세계가 부러워할 정도로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눈부신 산업발전의 이면에는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설비 성능이 고도화되고, 대형화되고,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함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강도가 점점 강해져 사망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매우 많아졌습니다. 요즘도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업무 중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 소식을 들을 수 있습니다. 실제 우리나라는 OECD 가입 국가 중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그룹에 속해 사망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국가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망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대책이 강구되었고 그 대책으로 안전진단, 특별감독, 점검 등 다양한 재발방지 대책이 나오고 있습니.. 2023. 2. 9. 이전 1 다음